한국인이라면 꼭 읽어야 할 필독서로 청소년 또는 성인 모두에게 권하고 싶은 한국문학 다시보기 시리즈! 역시, 김유정! 해학의 묘미가 엔딩 부분에서 정점을 이룬다. 영식이는 친구 수재와 함께 언제 나올지 모를 금을 캐느라 오늘도 땀을 흘린다. ‘금을 캐라닌까 밤낮 피만 내다 말라는가. 빚에 졸리어 남은 속을 볶는데 무슨 호강에 이 지랄들인구.’라며 영식의 아내가 못마땅해 한다. 시간은 가고 콩밭은 파헤쳐져만 가는데... 왠지 모를 불안감이 주인공들뿐만 아니라 읽는 독자에게도 느껴진다.
김유정[金裕貞]
소설가
1908년 1월 11일 –1937년 3월 29일
1935년 소설 <소낙비>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노다지>가 《중외일보(中外日報)》에 각각 당선됨으로써 문단에 등단함.
대표작: 1935년 - <소낙비>, <노다지>, <금 따는 콩밭>, <봄봄>, <산골>, <만무방> 등
1936년 - <산골 나그네>, <동백꽃>, <봄과 따라지> 등
1937년 - <땡볕>, <따라지> 등
폐결핵으로 29세에 요절하여 작가 활동 기간이 2년에 불과하지만 30편에 가까운 작품을 남길 정도로 창작에 대한 의욕이 넘쳤다.
<봄봄>, <동백꽃>에서는 가난하고 무지하며 순박한 인물 묘사를 희극적이며 인간미 넘치게 표현하였으며, <노다지>, <금 따는 콩밭>에서는 일확천금을 꿈꾸는 어리석은 욕망을, <따라지>, <봄과 따라지>에서는 도시 속 가난한 작가의 생활을 표현했다.